유용한 정보

세종 발 뺀 자금, 대전·천안 '10억대' 신고가 양산?.."실수요자 신중해야"

부동산 분양정석 2021. 9. 13. 10:02

힘빠진 천도론·상승피로감에 세종 집값 급락 속 대전 등 연일 신고가

"실수요 분양 열기 탄탄" vs "작전세력 낀 청주 사례 잊었나"

뉴스1 | 김희준 기자 | 입력2021.09.12 14:33 | 수정2021.09.12 15:16

뉴스1 © News1

(서울=뉴스1) 김희준 기자 = 지난해 전국에서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세종시 아파트값이 7주 연속 하락한 가운데, 인근 대전은 물론 천안엔 신고가 아파트가 속출해 뚜렷한 온도 차를 보인다.

일각에선 세종에서 발을 뺀 유동자금이 규제가 강화된 수도권 대신 인근 대전과 천안으로 유입되며 신고가를 주도하고 있어 주택매입을 희망하는 실수요자는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세종집값 급락 속 대전·천안 연일 10억대 '신고가'

1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첫째 주까지 세종 아파트값 누적 상승률은 2.19%로, 전국 17개 광역 시·도 가운데 가장 낮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누적 상승률(35.88%)의 16분의 1 수준이다.

세종은 지난해 국회의 세종 이전을 근거로 한 '천도론'에 힘입어 아파트값 상승률이 44.93%를 기록, 전국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 아파트값 상승세가 둔화하기 시작하더니 5월 셋째 주부터는 하락하기 시작했다. 특히 7월 넷째 주부터 7주 연속 떨어지고 있다.

세종시 업계 관계자는 "최근 세종시 이전 국회법 개정안이 국회운영위원회를 통과했지만 정권 말 추진력 등을 고려할 때 약발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전했다. 외지인 거래가 많은 세종시의 특성상 단기차익을 실현하려는 심리가 내림세를 이끌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반면 세종과 인접한 대전 아파트값은 세종의 낙폭이 커질수록 더 상승하는 양상이다. 실제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 자료에 따르면 올 1월부터 8월까지 8개월간 대전 내 아파트값 가격 상승률은 13.3%로 지방 5개 광역시 및 세종시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대전 유성구는 올 1~8월 아파트값 상승률이 16.1%로 가장 높다. 특히 유성구 내 도안신도시 아파트는 최대 수억원대의 시세차익을 보인다.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도안신도시 내 '트리풀시티 9단지' 전용 101㎡은 지난 11월 10억4500만원에 거래됐지만 8월 12억27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갱신했다. 9개월 만에 2억원 가까이 오른 셈이다.

올해 국토교통부가 적발한 자전거래 예시 © News1 최수아 디자이너

◇지난해 6건 거래로 청주 아파트값 50% 급등…"작전세력 주의보"

올 11월 입주예정인 '대전아이파크시티 2단지' 전용 84㎡ 분양권도 지난 5월 11억7782만원에 거래되며 지난해 6월 실거래가인 8억8930만원 보다 3억원 가까이 상승했다.

비교적 세종시에 인접한 충남 천안시 아파트값도 마찬가지다. 호가를 대폭 올린 매물이 신고가 거래로 이어지며 10억원대 아파트가 쏟아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전과 천안에서 신고가 아파트가 쏟아지고 있는 것에 대해 "대전은 올 초 공급계획 물량(3만4945가구)보다 분양이 8월 현재 5.6%에 그쳤고, 천안의 경우 개발 호재 등이 작용했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세종 아파트를 정리한 유동자금의 외곽유입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최근 수도권 집값상승의 주요이슈는 가격 '키맞추기'와 연계된 수도권 외곽 상승세 확산"이라며 "충청권에선 세종이 집값의 대장주 역할을 하고 있는데, 빠져나간 유동자금이 인근에 풍선효과를 양산하고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실제 거래량과 관계없이 배짱호가와 그에 따른 신고가가 쏟아지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역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세종과 경계선상에 있는 청주에선 고작 6건의 신고가거래로 아파트가격이 50% 이상 올라갔는데, 나중에 모두 작전세력의 자전거래로 밝혀졌다"며 "금리인상 기조가 뚜렷하고, 지방의 단기급등 소재는 '상투'(고점가격의 아파트를 사는 행위)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실수요자는 투기수요에 휩쓸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귀띔했다.

h9913@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