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삼국시대 목간(木簡·글을 적은 나뭇조각)이 출토됐다.
몽촌토성에서 출토된 목간. 한성백제박물관
한성백제박물관은 백제 도읍기(기원전 18년∼475년) 유적인 서울 송파구 몽촌토성의 유적에서 먹물로 쓴 글자가 있는 고구려 목간 한 점을 찾아냈다고 18일 밝혔다. 목간은 북문터 발굴조사를 통해 물을 저장하는 공간인 집수지 안에서 발견됐다. 출토 정황과 자연과학 분석, 역사적 사실을 종합하면 늦어도 551년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돼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목간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고려시대 목간이 나온 것은 처음이다.
지난해 4월 출토된 이 목간은 길이 15.6㎝, 너비 2.5∼2.7㎝, 최대 두께 0.4㎝이다. 글자는 한쪽 면에서 10∼13자가 확인됐다. 큰 글자 6∼8자를 한 줄로 적고, 오른쪽 하단에 작은 글자 4∼5자를 기록했다. 적외선 촬영 등에도 불구하고 글자는 정확히 판독되지 못했다.
하지만 집수지가 고구려 유적이고, 주변에서 고구려 토기가 나왔다는 점을 근거로 목간이 고구려 유물이라고 박물관 측은 판단했다. 집수지를 축조하는 데 사용된 목재와 내부에서 수습한 목재는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등 연대 분석 결과 469∼541년 유물로 파악됐다.
한성백제박물관 관계자는 "백제는 고구려 침략으로 475년에 수도를 오늘날 공주인 웅진으로 옮겼고, 고구려는 백제 성왕이 551년 한강 유역을 되찾기 전까지 몽촌토성을 점유했다"며 "목간이 551년 이전에 만들어졌다면 삼국시대를 통틀어 국내 최고(最古) 목간일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나온 삼국시대 목간은 대부분 6∼7세기 신라와 백제 유물이다.
신라 목간은 '목간 보물창고'로 불리는 함안 성산산성과 신라 왕성인 경주 월성, 사람 얼굴 모양 토기가 발견된 경산 소월리 유적 등에서 나왔다. 백제 목간으로는 부여에서 출토된 '구구단' 목간과 '논어' 목간 등이 있다. 한성백제박물관은 목간 조사 내용을 한국목간학회가 21일 여는 학술회의에서 공개할 계획한다.
손영옥 문화전문기자 yosohn@kmib.co.kr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안 밀려온 北쓰레기 수집.. 상품 질·종류 보니 시장경제 퍼졌더라" (0) | 2022.01.21 |
---|---|
[포착] '조선 왕의 그림' 뜯었더니..시험 답안지 무더기로 쏟아졌다 (0) | 2022.01.21 |
'태종 이방원' 깊이 들여다보기 (0) | 2022.01.19 |
삶은 달걀과 귤의 조합.. 몸의 변화가? (0) | 2022.01.18 |
뮤지컬 '킹아더', 3년만에 귀환..강렬한 음악 체험 선사 (0) | 2022.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