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 정보

中 요소수 하나에 韓 경제 송두리째 '흔들'.."국내 생산해야"

부동산 분양정석 2021. 11. 8. 10:23

"요소수 품귀 사태 연말까지 지속시..최악의 경우 물류 중단"

"중국에 과도하게 의존..제조 비용 들어도 자체 생산 늘려야"

지난 7일 오전 서울의 한 주유소에 요소수 품절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2021.11.7/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서울=뉴스1) 김성은 기자 = 중국의 요소수 하나가 우리나라 경제를 송두리째 뒤흔들고 있다. 디젤 차량의 오염물 저감 물질인 요소수는 제조에 첨단 기술이 요구되는 것도 아니다. 그런데도 우리나라가 요소수로 크게 휘청이는 이유는 원료 수입을 중국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이 요소수 수출을 제한하자 당장 국내 물류 현장부터 아우성이다. 이렇게 한두달만 지났다간 전국 물류가 마비되는 사태를 빚을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무턱대고 중국만 바라볼 게 아니라 자체적으로 요소수를 생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화물업계에 따르면, 현재와 같은 요소수 품귀 사태가 이어질 경우 이르면 이달 안이라도 부산·인천항의 화물 처리가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화물차의 약 60%는 경유 차량인데, 요소수를 넣지 않으면 운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요소수가 없어서 화물차가 멈추면 컨테이너가 고스란히 쌓이면서 수출입에 차질을 빚게 된다. 항만과 도심을 오가는 화물차 역시 발이 묶이게 된다. 수출로 먹고 사는 우리나라로서는 적지 않은 타격이 불가피하다.

안기명 한국해양대학교 해운경영학부 교수는 "요소수 품귀 사태가 올해 말까지 지속된다면 문제가 완전히 심각해질 것"이라면서 "최악의 경우 국내에서 물류가 중단되는 사태도 빚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현재경제연구원이 지난 2012년 발표한 '화물연대 파업의 경제적 영향' 보고서를 보면 전면파업으로 인해 운행 차질률이 60% 이상 떨어질 경우 수출 차질액은 하루 평균 1억1000만달러(약 1300억원)로 추산됐다. 전면파업이 10일 이상 지속될 경우 총산업의 부가가치 감소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최대 0.1%에 이를 것으로도 분석됐다.

화물연대가 지난 2008년 6월 실시한 파업으로 인해 5일간 발생한 수출 차질액은 23억1000만달러(약 2조7300억원), 수입 차질액은 24억2000만달러(약 2조8600억원)로 추정됐다. 운송 차질률을 감안해 항만을 통한 일평균 수출입 물동량으로 추산된 수치다.

물동량이 증가한 현재 시점에서 요소수 품귀사태로 인해 전면파업에 준할 정도의 운행 차질을 빚을 경우 이보다 더한 경제적 피해가 예상된다. 안 교수는 "안그래도 해상운임 상승으로 수출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라 요소수 사태가 장기화하면 수출이 더욱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요소수 가격이 뛴 결과는 화물차 운송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소비자들에게 고스란히 전가될 가능성이 크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운송 비용이 상승해 물가가 오르고 생필품 부족 등의 혼란도 나타날 수 있다"며 "운송이 막히면 수출은 물론 국내 모든 산업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주고 최악의 경우 '올스톱'할 수 있다"고 전했다.

학계는 지나치게 높은 대중(對中) 의존도를 지적한다. 수입처를 다변화하지 않고 한 국가에서 특정 품목을 대부분 수입하다보니 이번 사태를 빚었다는 것이다.

올해 1~9월 누적 기준으로 우리나라가 수입한 산업용 요소의 98%는 중국산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중국에서 생산되는 요소수에 아무리 가격 경쟁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중국에 지나치게 과도하게 의존해온 것은 문제가 있다"며 "정부가 이를 계속 방치하면서 아무런 대책 없이 가만히 있었다는 것 역시 심각한 문제"라고 꼬집었다.

정부는 이제서야 부랴부랴 수입 다변화에 나섰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7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제2차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를 개최하고 "호주·베트남 등 여타 요소 생산 국가와 연내 수천톤이 도입되도록 외교역량을 총동원해 적극 협의하기로 했다"면서 "당장 이번주에 호주로부터 요소수 2만리터를 수입하기로 했으며 신속한 수송을 위해 군수송기를 활용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 교수는 "요소수 부족 사태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한국 내에서 요소수 제조에 비용이 들더라도 국내 자체 생산을 늘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sekim@news1.kr